Showing posts with label CR.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CR. Show all posts

Sunday, July 21, 2013

[Critical Reasoning] Other types

Argument 이 외의 유형들

1) Inference

질문 형태

- If the statements above are true, which of the following must also be true?
- If the above are true, which of the following conclusion is most strongly suppoted by them?

위의 지문에 대한 표현이 true/correct/accurate/fact/information 으로 나올경우 inference의 가능성이 높음

: 지문에 나와있는 문장에 대해서 의심을 가지지 말고 편한히 읽은 후에 아래의 보기를 보고 정답을 유추해 낸다. 이때, 지문의 범위를 벗어난 보기는 정답이 아니며 ONLY 지문에 있는 내용을 가지고 유추해내는것이 중요하다.

예시1)

최근 미국에서 A라고 하는 경영기법이 modest renaissance를 경험하고 있다.

If the statements above are true, which of the following must also be true?

>> modest renaissance라는 단어에서 유추 할수 있는 부분이 이 경영기법은 이전에 각광받았던 적이 있으며, 그 후 축소 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각광(이전보다 작은)을 받기 시작했음을 알수 있다.

하지만, inference의 특성상 지문의 내용을 가지고 유추해 낼수 있는 사실이 굉장히 많으므로 지문을 다 읽은 시점에서 정답을 예상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지문을 완벽히 이해한후에 보기에서 오답을 제거해가며 정답을 찾는것이 좋다.

<주의해야 할 점>

(1) 질문의 형태

- Which of the following is most strongly supported by the information above?
- The above supports which of the following?

위와 같이 자칫 해석을 꼼꼼히 하지 않으면 strengthen문제로 오인하고 풀기 쉽다. inference의 특성상 오답이 보통 strengthen인 것들이 많으므로, 이경우 100% 틀린다고 할수 있다.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서는, 지문이 보기를 support 하면 Inference 유형이고 보기가 지문을 support 하면 strengthen 문제이다.

(2) Extreme Expression vs Moderate Expression

Assumption 에서와 마찬가지로 expression의 뉘앙스 차이로 뜻이 틀려지는 경우가 많을수 있다. 따라서 all, no, none, only, should, cannot 등의 strong tone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오답가능성이 높다. 주의해서 꼼꼼히 보기를 체크한후 정답을 고르도록 한다.

반면에, possible, can, tend to, likely to, some, not necessarily 등의 가능성 위주의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2) Complete

밑줄친 부분을 완성하는 문제로, 밑줄에 들어갈 문장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크게, (1) justify, (2) inference, (3) strengthen의 3가지 성격을 띈다.

(1) Justify

justify라는 단어에서 알수 있듯이 앞 주장에 대한 정당화를 부연설명하는 문장이 나오는 케이스이다. 따라서 지문의 내용은, 배경설명 >> 역접 >> 뜻밖의 결론 >> 정당화 로 서술된다. Complete 문제의 80% 정도가 justify의 유형으로 출제된다.

(2) Inference

사실상, 문제 유형이 complete type으로 나와 있기는 하지만 앞서 설명한 inference의 개념과 똑같다. 지문에 어떠한 사실에 대해 서술되어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추론할수 있는 문장을 고르는것.

(3) Strengthen

justify와 앞의 문장을 지지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내용의 흐름상 justify와는 반대라고 할수 있다. 지문의 내용은, 배경설명 >> 결론 >> 지지 로써 역접을 뺀 justify라고 볼수 있다.

3) Explain (paradox)

지문의 내용이 어떠한 사건이 두가지 형태로 나오게 된다. 두가지 사실의 경우 모순 (paradox), 어긋남 (discrepancy), 불일치 (disparity), 대조 (contrast), 차이 (difference), 놀라운 발견 (surprising finding) 등의 형태로 나뉜다. 따라서 이 두가지 사실을 설명할수 있는 내용을 보기에서 골라서 찾는것이다.

예시)

지문 (1) sales revenue increased, (2) Profit decreased

위의 (1)번과 (2)번의 내용을 설명해줄수 있는 추가적인 사실을 고르면 된다. 이를테면 매출과 이익 사이의 관계에서 비용에 대한 설명으로 위의 지문에 대한 사실을 메꿀수 있으니 정답이 될수 있다. 사실상 두가지 관계를 설명할수 있는 많은 내용들이 있지만, 가능성의 측면에서 보기를 골라내면 된다. 다시 말해, 정답이 꼭 완벽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explain 타입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

explain/account for/resolve (the paradox)/reconcile (the discrepancy)
+ contribute to an explanation

4) Boldface

Boldface는 다른 CR type의 문제들과 다르게 단락의 길이가 두배정도 길다. 보통 두가지argument가 동시에 있다고 생각하면된다. 문단의 윗부분에는 어떠한 사실에 대한 주장이 등장하고 아래에는 이를 반박하는 사실들과 주장이 등장한다. 따라서 전체지문을 완벽히 파악하고, 글의 main conclusion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나서 main conclusion 과 boldface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꼭 알아둬야 하는 boldface에 등장하는 표현>

- After all : S + V. After all S + V 로 내용이 진행 되는 경우, after all의 앞문장이 결론이고 뒷문장이 전제이다.

- 지지하다의 표현들: provide evidence, support, advocate, endorse, substantiate, spell out, bear out, defend, argue fro

- 반박하다의 표현들: weaken, call into question, challenge, oppose, weigh against, reject, counter, argue against, dispute

- 주장하다의 표현들: claim, maintain, allege (충분한 근거 없이 주장하다)

- 입증하다: establish

- 결론: conclusion, position, judgment, hypothesis

- 근거: evidence, basis, ground, judgment, consideration
(judgment 객관적 사실이라기 보다는 주관적인 판단 - 결론과 근거로써 모두 사용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고려사항/근거: consideration

- 중간 결론: intermediate conclusion

- assumption 가정법 관련 (보통 근거의 역할), would를 확인해야 함

- implication 암시

- counterexample 반증, 반례

- justify (어떤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화 하다


지문의 종류에 따라서,

(1) 현상에 대한 원인을 주장하는 지문 (causal)

보통 현상에 대해, 두가지 원인들이 나온다 (작자가 반대하는/작자가 제시하는)

- Finding, development, phenomenon 현상/발견

- development = event

- explanation 원인 <> an alternative explanation 다른 원인

- explain 현상에 대한 원인을 제시하다

(2) 계획을 세우는 지문

보통 어떤 목적에 대해 두가지 방법(작자가 반대하는/ 작자가 제시하는)이 나오고, 이 두가지를 평가하고 한쪽을 지지한다.

- evaluate, assess 평가하다

- goal, intended effect 목적

- strategy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

- policy, practice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관행


형식) 문제에 대해 하나의 도입된 (adopted) 해결책 (proposal, recommendation, strategy)이 제시 (introduced) 되고, 이것이 ~ 근거로 인해 좋지않다. 한편, ~ 하므로 다른방법 (proposal, recommendation, strategy)이 더 좋다.

Thursday, July 18, 2013

[Critical Reasoning] Argument

[Argument]

지문에 나와 있는 내용들이 근거를 바탕으로 작자가 하고자 하는말을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짧은 지문이지만 근거(premise)와 주장(conclusion)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사이에 헛점이 존재하는데 이를 공략하는것이 critical reasoning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argument 형식의 문제이다. 종류에는 assumption, strengthen, weaken, evaluate 이 있다.
기본적으로 Critical Reasoning의 Argument는 assumption 과 conclusion에 대한 장난으로 문제를 내는 타입이라고 할수 있다. 

문제에 풀기에 앞서 질.문.부.터. 확.인.한.다. 
그다음에 지문을 읽고 P, A, C를 구분하여 생각하고 진행하면 문제 푸는것이 훨씬 더 수월해진다.

1. Assumption


Conclusion >> NECESSARY Conclusion


보통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assumption of the argument above? 라는 질문형식이 붙어 있다. assumption 타입의 문제는 그야말로 지문에 필요한 가정을 찾는것이다. 광범위한 내용으로 지문의 빈틈을 커버하는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정확히 필요한 정보만 주어져야만 assumption이라고 할수 있다.

Assumption의 특징은

1) unstated : 지문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내용이어야 한다.
2) necessary : 꼭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철수는 주말에 놀이공원에 갈 것이다. 그러므로, 철수는 내일 용인에 있을것이다

라는 지문에서 두 문장 사이를 메꿔 줄수 있는 논리적인 사실이 존재하는데 이를 찾는것이 assumption 이다.


지문으로 미루어 알수 있는 사실은,

a. 놀이공원은 용인에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b. 내일은 주말일 것이다.

의 두가지 정도인데 assumption의 특징의 첫번째로 두가지 가정 모두 지문에는 나와 있지 않은 문장이다. 또한 두번째 특징으로써, assumption이 되기 위해서는 necessary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오답이 되는 문장을 보면서 생각해보면 이해하기가 쉽다.


만일, 지문에 있는 보기가 모든 놀이공원은 용인에 있다 / 철수가 가고자 하는 놀이공원은 용인에 있다. 라고 나와 있다면, 정답은 무엇일까? 이것에 대한 정답은 assumption의 특징으로 설명이 될것이다. necessary 해야 한다는 점에서 철수가 가고자 하는 놀이공원은 용인에 있다. 가 정답이다. 지문에 정확히 필요해야 하는 사실은 모든공원이 아닌 철수가 가고자 하는 공원이기 때문에 모든 놀이공원은 과다한 정보가 되는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아래의 assumption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지문에 나와있는 보기가 내일은 토요일이다 / 내일은 주말이다. 두가지로 나와 있다면 답은 어떻게 될것인다. 정답은 necessary 해야 한다는 점에서 내일은 주말이다. 가 정답이 될것이다. 이유는 지문에서 주말에 놀이공원에 간다고는 하였고 주말이라는 의미는 토요일과 일요일 둘다를 포함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토요일이라고 표현하기에는 모자란 감이 있기 때문에 내일은 토요일이다. 라는 지문은 오답이 되는것이다.

지문의 내용에 따라 argument의 종류는 generalization, causal, syllogism, analogy, 정도비교 등으로 분류 가능하다.

<A#1. Negation Test>

assumption type의 문제의 정답 확인 시에만 확인한다.

1. 보기에 나와 있는 문장에 부정표현이 들어있을 경우 not을 제거하여 해석한다.
2. not을 제거하고 해석한 문장이 지문에 대한 weaken의 표현이 되면 그것이 바로 assumption 정답!

※ 오직 주절의 동사가 부정문 일때만 가능 (종속절, 관계절 X)
※ argument 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가능

<A#2. Strengthen but not necessary>

assumption type의 문제에서 가장 주의해야할 오답. 얼핏 보기에 문장을 지지하는것이 그럴싸해 보이지만 사실은 필요한 정보 외에 더 많거나 적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주말놀이공원의 경우가 바로 그 케이스.

<A#3. Extreme expression>

보기 중에 extreme expression이 있는경우, 주의해서 봐야 한다.
All, every, no, none, always, same, the best 등의 strong tone의 느낌으로 오게 되는데 이경우도 negation test가 가능하다.

각각 some, not always, similar, the second best 로 대체하여 문장을 해석한다.

2. Strengthen &
 Weaken

assumption의 개념과 비슷하지만 조금 더 제약이 적은 문제 유형이다. 

지문으로부터 도해할수 있는 P, A, C 에서 assumption 과 conclusion 의 두 부분에 대하여 각각 지지 하는 경우에는 strengthen, 반박하는 내용이면 weaken으로 구분할수 있다.
보통 assumption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Strengthen 의 질문 유형>

Which of the follwing, if true, most strengthen the argument above?

<Weaken 의 질문 유형>

Which of the follwing, if true, most weaken the argument above?

질문에서 나타나듯이 보기의 5문장은 절대적으로 사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앞서 말한 premise가 사실이듯이 보기 역시 사실이므로 이를 통해 assumption 혹은 conclusion 을 strengthen or weaken 하는 표현을 찾으면 된다.

※ Weaken 의 질문 표현

- undermine
- cast doubt on
- call into question
- argue against
- counter
- refute

3. Evaluate

Argument의 마지막 유형으로 위의 3가지 유형과는 다르게 지문의 내용에 대한 결론이 True or false 인지 알수 있게 해주는 정보로 나타난다. 따라서 보기에는 의문문 형태로 문장이 나타난다. 그 의문문에 대한 대답을 해봤을때 yes or no로 가능하면 그것이 정답!


4. Assumption, strengthen, weaken & evaluate type의 오답 성격

1) assumption

- Out of scope: 지문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내용이 나온다
- Weaken: 지문의 내용에 대한 반박일 경우 오답
- Strengthen but not necessary: 가장 혼란스러운 오답. 꼭 필요한 정보가 빠져있음

2) Strengthen

- Out of scope: 지문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내용이 나온다
- Weaken: 지문의 내용에 대한 반박일 경우 오답
- 정도가 약한 strengthen, 왠지 지지하는 내용이긴 하나 거의 가능석이 희박한 정보

3) Weaken

- Out of scope: 지문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내용이 나온다
- Strengthen: 지문에 내용에 대한 지지일 경우 오답
- 정도가 약한 weaken, 왠지 반박하는 내용이긴 하나 거의 가능석이 희박한 정보

4) Evaluate

- 결론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