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July 23, 2013

[Reading Comprehension] Basic Logic

[문장 논리]

1. A = B (equality)

동격관계, 부연설명, 정보제공

<Signals>

- 부호 >> : ; , - () 의 다섯가지
- be동사
- 관계대명사
- that
- 전치사 as, of, by

ex)
A rock record provides clues abou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adiations (periods when existing lifeforms gave rise to variations that would eventually evolve into entirely new species) in the history of marine invertebrates. During this radiation the number of marine biological families increased greatly.

2. A ≒ B (similarity)

유사성, 비유, paraphrasing에 절대 주의

<Signals>

- Similar
- as ~ as 비교 구문
- like

ex)
Tom이 성실하듯이, Alice도 거북이 같다.

이때, 거북이는 성실하다는 뜻의 유사함을 받았으므로 다른 뜻은 다 차치하고 이 문장에 나와있는 성실함으로만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북이라는 뜻은 성실함의 표현이다.

※ GMAT의 지문에 나와 있는 단어는, 구조에 따라서 사전상의 의미를 바꾸기도 한다.

3. A ↔ B (difference)

대조, 차이, 역접의 관계 >> 흑백 논리 적용이 필수

<Signals>

1) Time (전후 관계)
: 시간으로 표현이 된 문장은 분명 앞의 사건과 뒤의 사건으로 나뉘어 질수 있다.

2) Amount (수량)
: 수량의 표현은 다소 모호하게 표현되긴 하지만 크게 many와 some으로 나누어서 문제에 적용할수 있도록 한다.

3) Condition (조건, 단서)
: 문장에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형태로, 흑백논리를 반드시 유추해내야 하는 단서. 예를들어 만약 ~ 라면 ~일것이다 이라고 표현이 되었다면. 반드시 그 뒤에 숨어있는 만약 ~ 아니라면, ~이지도 않을 것이다. 라고 유추해내야 한다.

although, while, whereas
different, unlike, 비교급
rather than
surprising
contradict

이중 surprising 의 경우 자주 출제되는 signal로 예전에 알던 예상과는 반대 되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4. A → B (cause & effect)

- 인과관계 (영향력을 끼치는 관계)
- 유기적 (strong connection) >> 조건 관계 >> 흑백논리 적용
ex) 땅뱀은 심장이 멀리 있어서, 혈액순환 거리가 길어짐
바다뱀은 심장이 중간에 있어서, 혈액순환에 힘이 거의 안듬.

위의 예에서 제시 된 두 문장으로 부터 유추 할수 있는 사실은 심장의 위치와 혈액순환과의 관계이다.
첫번째 문장으로 부터 땅뱀이 아닌것이 심장이 멀지 않다면 혈액순환 거리는 짧다 라는 사실과, 두번째 문장으로부터 땅뱀이 아닌것은 심장이 멀지 않기 때문에 혈액순환에 힘이 안든 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따라서 혈액순환 거리가 길다는 소리는 힘이 든다는 것으로 설명할수 있고 반대로 힘이 안 든다는 소리는 혈액순환 거리가 짧다는 소리로 해석해야 한다.

- 상식적 (common sense)
긍정적인 원인 → 긍정적인 결과
부정적인 원인 → 부정적인 결과

<Signals>

- because, since, as + 원인 <> so + 결과
- consequently, thus, therefore + 결과
- 원인 + cause, lead to, result in, produce + 결과
- 결과 + be attributed to, result from + 원인
- response, reaction + 결과
- factor, cause, origin + 원인
- for + 원인
- with, through, by + (1) 수단, (2) 원인
- S + V + so 형용사 (원인) that S + V (결과)
- in order to, so as to + 원인


[글 논리]

1. Paragraph

기본 구성 원칙: Main idea << sub idea

1) Main idea
: general, broad, but not specific and not detailed

<Signals>
- format: 단락의 첫 문장
- content
(1) 문제
(2) 해결책
(3) 반박
(4) 주장

※ However (=but, yet)
- 역접, 대조의 signal 아님
- main idea의 signal 아님
- 중요내용의 signal 임!

2) Supporting idea
: specific,detailed, but not general and not broad

<Signals>
- format: main idea 뒷문장
- content: 순서 고정이며, 내용은 가끔씩 생략된다.
(1) definition
(2) explanation
(3) example

2. Passage
: General >> Specif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