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uly 19, 2013

[Sentence Correction] Pronoun Case


대명사의 격

영어를 처음 배우면서부터 외운 것인데 은근 헷갈릴때가 많다. 특히 문제속에서 같이 있을 경우 무심코 지나칠수 있으므로 주의할것.

Subjective Objective Possesive
Person single/plural
First I/we me/us my, mine/our, ours
Second you/you you/you your, yours/your, yours
Third he/they him/them his/his, theirs
she/they her/them her, hers/their, theirs
it/they it/them its/their, theirs
1. 복합구조
a. 복합 주어
: 주어가 복합주어 일때 흔히 일어날수 있는 오류로서 익숙하여 모르고 지나치게 된다.
Calvin and me won first prize in the potato sack competition.
>>Calvin and I won first prize in the potato sack competition.
주어 자리 이므로 당연히 주격이 들어와야 함.
b. 동사의 복합 목적어
동사에 의해 지칭되는 목적어가 두가지 이상일때 흔히 일어날수 있는 격의 오류이다.
The piano rolled over Gilbert and I
>>The piano rolled over Gilbert and me
목적어 자리이므로 당연히 목적격 대명사인 me가 들어와야 함.
c.전치사의 복합 목적어
전치사가 취하는 목적어가 두가지 이상일때 일어나는 격의 오류
The police officer spoke with Jake and I
>>The police officer spoke with Jake and me
목적어 자리이므로 당연히 목적격 대명사인 me가 들어와야 함.
2. 동격
동격의 기능은 명사의 의미를 한번 더 강조하는 것으로 격이 바뀌어 나옴
The two losers, him and Sam, were distraught beyond belief.
>>The two losers, he and Sam, were distraught beyond belief.
주격이므로 he.
※ 동격어구: Mr. Kim, my old friend, lives in Incheon. / My plan is this, to rest at home.
※ 동격절: I noticed the fact that I loved her./ The mystery why he went there is in my mind.
[참고that]
- 관계대명사 that: This is the watch that I like.
- 지시대명사 that: I like that.
3. 연결동사

주어와 목적어를 대등관계로 이어주는 동사들

- indicate a state of being : am, is, are, was, were
- relate to senses: look, smell, taste, sound, feel
- suggest a condition: appear, seem, grow, turn, remain, prove
예를 들어,
The ones who were elected to the student counsel are her and Morris.
>> The ones who were elected to the student counsel are she and Morris.
4. 생략구문
보통 관계대명사의 목적격 같은 경우,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른 오류가 발행하는 케이스를 말한다. 
a. Calvin loves a sports car more than me
b. Calvin loves a sports car more than I
위의 두가지 케이스에서 해석 되는 것에 따라 격이 바뀌므로 주의!
a의 경우 해석은 "Calvin은 나보다 스포츠 카를 더 좋아한다." 이며, b의 경우 해석은 "Calvin은 내가 스포츠 카를 좋아하는것 보다 더 스포츠 카를 좋아한다."로 해석된다
두개의 경우에 me 와 I 의 구분이 명확하므로 쓰임새를 판단할수 있지만 격을 판단할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Jane-주격, 목적격 전부 가능)에는 해석에 따른 비교 판단이 필요하다.
Calvin likes apples more than Jane
위의 문장에서 작자가 의도한 해석에 따라 문장이 wordy 해지느냐 아니면 X 가 되느냐의 판가름이 난다.